매운 맛 코치로 알려진 그랜 카돈의 "10배의 법칙"은 가진 것 없이 평범하게 태어난 저자가 파산과 마약중독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극복하고 억만장자로 성공한 비법을 모두 알려주는 책입니다.
줄거리
이 책은 성공적인 사람들의 특징과 성공을 이루기 위한 방법을 알려주는 자기 계발 서적입니다. 이 책에서 그랜트 카돈은 다양한 사례를 통해 성공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진 특징을 소개하며 그들이 이룬 성공의 비결을 설명합니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10배의 법칙이란, 일반적인 사람들이 하는 것보다 10배 더 노력하고, 10배 더 전문적으로 일하며, 10배 더 성공적인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랜트 카돈은 이를 위해 일할 때 집중력을 높이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최고의 일을 하며, 성공적인 사람들과 교류하며 자신을 끊임없이 개발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또한 그랜트 카돈은 이 책에서 성공적인 사람들이 가진 성격적인 요소를 분석합니다. 그들이 가지고 있는 강점과 약점, 그리고 습관과 태도를 살펴봅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부분을 찾아내며, 성공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10배의 법칙"은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을 이룬 사람들의 사례와 그들의 성공 철학을 바탕으로 독자들이 자신의 인생에서도 성공을 이룰 수 있도록 합니다.그랜트 카돈은 말합니다. "운이 성공을 만들지 않는다. 성공에 완전히 몰입하는 사람이 인생에서 행운을 얻는다."
저자 소개
그랜트 카돈은 미국의 작가, 비즈니스 컨설턴트, 강연가, 부동산 투자가입니다. 그는 결제적인 성공과 부의 증대를 위한 다양한 자기계발 서적을 집필하고 있으며, 매년 전 세계적인 비즈니스 컨퍼런스에서 연설하고 코칭을 하고 있습니다. 그는 1958년 루이지애나 주에서 태어났습니다. 부동산 회사인 Cardone Enterprises의 창립자이자 최고 경영자입니다. 그는 20대에 약물 중독과 경제적 어려움을 꺾었으나, 이후 자기계발과 비즈니스 경영을 통해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그는 현재 세계적으로 유명한 작가 및 비즈니스 컨설턴트로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매출 및 경영 증대 전문가로서, 매출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경영 증대를 위한 컨설팅을 진행합니다. 또한 그는 부동산 투자 분야에서도 유명하며, 부동산 투자 전문가로서 강연과 교육을 진행합니다. 그 외에도 그랜트 카돈은 자기계발 및 삶의 의 목적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자기계발 서적을 저술하고, 설공적인 삶을 위한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그는 "10배의 법칙"을 중심으로 자신의 비즈니스 및 삶의 철학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느낀 점
이 책을 읽고 느낀 점은 매우 강력한 자기계발 및 성공 철학을 제시한다는 것입니다. 성공을 하기 위해선 목표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목표가 중요한 이유는 목표에 따라 필요한 행동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목표의 수준이 낮으면 너무 쉽게 목표 달성을 하게 되고 더 높은 목표에 해당하는 일을 해낼 수 있음에도 시도를 하지 않게 된다는 것입니다.그는 평범한 사람이 아닌 10배 더 노력하고 10배 더 전문적으로 일하며, 10배 더 성공적인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철학은 성공적이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데에 커다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10배의 법칙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노력과 열정, 근성, 집중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은 누구든지 성공하고자 하는 분야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10배의 법칙을 따르기 위해서는 꾸준한 노력과 열정, 그리고 인내가 필요합니다. 또한 그랜트 카돈은 자신이 성공한 비즈니스 및 부동산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철학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매우 현실적인 이러한 그의 철학은 비즈니스와 부동산 투자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행동력도 성공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그것만으로는 성공을 할 수 없습니다. 그에 맞는 사고도 해야한다고 합니다. 생각해보니 주위에서 일을 벌리는 사람들에 대한 편견이 있었습니다. 많이 반성한 시간이었습니다.
댓글